목차

  1. 네트워크 기초 개념
  2. 스위치와 라우터 설정 및 관리
  3. 무선 네트워크 설정
  4. 네트워크 모니터링 및 문제 해결

1. 네트워크 기초 개념

1.1 OSI 모델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각 계층은 특정 기능을 담당하며, 상호 작용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됩니다.

  • Physical Layer (물리 계층): 전기적 신호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
  • Data Lin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 MAC 주소를 사용하여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 전송.
  •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 IP 주소를 사용하여 패킷 전송.
  • Transport Layer (전송 계층): TCP/UDP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확보.
  • Session Layer (세션 계층): 통신 세션 관리.
  • Presentation Layer (표현 계층): 데이터 형식 변환.
  • Application Layer (응용 계층): 사용자와 네트워크 간의 인터페이스 제공.

1.2 TCP/IP 모델

TCP/IP 모델은 인터넷과 대부분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스택으로, OSI 모델보다 간단한 4개의 계층으로 구성됩니다.

  • Network Interfac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물리적 및 데이터 링크 계층.
  • Internet (인터넷): 네트워크 계층.
  • Transport (전송): 전송 계층.
  • Application (응용): 응용 계층.

1.3 IP 주소와 서브넷팅

IP 주소는 네트워크 상의 장치를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IPv4 주소는 32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브넷팅을 통해 네트워크를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 IPv4: 192.168.1.1 형태의 주소.
  • IPv6: 더 많은 주소 공간을 제공하는 128비트 주소.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와 호스트 부분을 구분하며,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을 통해 효율적인 주소 할당이 가능합니다.

2. 스위치와 라우터 설정 및 관리

2.1 스위치 설정

스위치는 네트워크 장비 간의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전달합니다. 기본 설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VLAN (Virtual Local Area Network) 구성:
    • VLAN을 통해 논리적으로 네트워크를 분할하여 보안 및 성능 향상.
    • 예: vlan 10 생성, interface Gig0/1을 vlan 10에 할당.
  • 포트 설정:
    • 스위치 포트를 액세스 또는 트렁크 모드로 설정.
    • 액세스 포트: 단일 VLAN에 속함.
    • 트렁크 포트: 여러 VLAN을 태그하여 전송.

2.2 라우터 설정

라우터는 다른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전달합니다. 기본 설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인터페이스 설정:
    • 각 인터페이스에 IP 주소 할당.
    • 예: interface Gig0/0, ip address 192.168.1.1 255.255.255.0.
  • 라우팅 프로토콜 설정:
    • 정적 라우팅: 특정 경로를 수동으로 설정.
    • 동적 라우팅: 라우팅 프로토콜 (예: OSPF, EIGRP) 사용.
  •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 내부 네트워크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환.
    • 예: ip nat inside source list 1 interface Gig0/0 overload.

3. 무선 네트워크 설정

3.1 Wi-Fi 6와 Mesh 네트워크

Wi-Fi 6는 최신 무선 네트워크 표준으로, 더 높은 속도와 더 많은 기기 지원을 제공합니다. Mesh 네트워크는 여러 개의 노드를 사용하여 넓은 범위에서 일관된 무선 신호를 제공합니다.

3.2 무선 액세스 포인트 (AP) 설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설정의 기본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 SSID 및 보안 설정:
    • 무선 네트워크 이름(SSID) 설정.
    • WPA3 등의 최신 보안 프로토콜 사용.
  • 채널 및 대역폭 설정:
    •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절한 채널 선택.
    • 20MHz, 40MHz, 80MHz 대역폭 설정.

3.3 무선 클라이언트 연결 관리

무선 클라이언트의 연결을 관리하여 네트워크 성능과 보안을 최적화합니다:

  • MAC 주소 필터링:
    • 허용된 기기만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제한.
  • 대역폭 관리:
    • 특정 애플리케이션이나 사용자의 대역폭 제한.

4. 네트워크 모니터링 및 문제 해결

4.1 네트워크 모니터링 도구

네트워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도구는 다음과 같습니다:

  • Nagios: 오픈소스 모니터링 시스템.
  • Zabbix: 네트워크 및 서버 모니터링 도구.
  • PRTG Network Monitor: 상업용 네트워크 모니터링 소프트웨어.

4.2 SNMP 설정 및 사용법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는 네트워크 장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됩니다:

  • SNMP 에이전트 설정:
    • 네트워크 장비에서 SNMP 에이전트를 활성화하고, 관리 스테이션과의 통신 설정.
  • SNMP 트랩 설정:
    •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관리 스테이션으로 알림 전송.

4.3 알림 설정 및 관리

네트워크 문제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을 위해 알림 시스템을 설정합니다:

  • 이메일 및 SMS 알림 설정:
    • 네트워크 모니터링 도구에서 임계값 초과 시 알림 전송 설정.
  • 대시보드 및 보고서 생성:
    • 실시간 네트워크 상태를 시각화하고, 정기적인 보고서 생성.

4.4 문제 해결 방법

네트워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본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문제 정의:
    • 문제가 발생한 위치와 증상 파악.
  • 원인 분석:
    • 로그 파일 분석, 네트워크 장비 상태 확인.
  • 해결 방법 적용:
    • 구성 변경, 장비 재부팅, 펌웨어 업데이트 등.
  • 사후 검토:
    • 문제 해결 후 네트워크 상태 모니터링 및 문서화.

목차

  1. 정기 유지보수 일정
  2. 하드웨어 점검 및 교체 방법
  3. 서버 로그 분석 및 문제 해결
  4. 백업 및 복구 전략
  5.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패치 관리

1. 정기 유지보수 일정

  1. 주간 유지보수:
    • 서버 상태 모니터링.
    • 백업 확인 및 테스트.
  2. 월간 유지보수:
    • 하드웨어 점검 (디스크, 메모리 등).
    • 시스템 로그 분석 및 보고서 작성.
  3. 연간 유지보수:
    • 전체 시스템 점검 및 청소.
    • 주요 하드웨어 구성 요소 교체 및 업그레이드.

2. 하드웨어 점검 및 교체 방법

  1. 서버 하드웨어 구성 요소 점검 방법:
    • iDRAC을 사용하여 하드웨어 상태 모니터링.
    • 물리적 점검 및 테스트 수행.
  2. CPU, 메모리, 디스크 등의 점검 및 교체 방법:
    • 문제 발생 시 해당 부품 파트 조회후 교체 절차.
    • 교체 후 테스트 및 확인 절차.
  3. 유지보수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예방 방법:
    • 정전기 방지 조치.
    • 최신 펌웨어 및 드라이버 사용.

3. 서버 로그 분석 및 문제 해결

  1. 서버 로그 파일의 중요성 및 분석 방법:
    • 로그 파일 분석 도구 및 방법. 유지보수업체 문의
  2. 주요 로그 파일 위치 및 내용 해석:
    • OS 경우 Windows Event Viewer, Linux syslog 등 주요 로그 파일 위치.
    • H/W 로그 내용 해석 및 문제 해결 방안.
  3. 로그를 통한 문제 해결 사례:
    • 특정 오류 메시지를 통해 문제 원인 파악.
    • 로그 분석을 통해 성능 저하 원인 발견 및 해결.

4. 백업 및 복구 전략

  1. 효과적인 백업 계획 수립:
    • 주기적 백업 일정 설정.
    • 백업 데이터의 안전한 저장소 관리.
  2. 백업 소프트웨어 선택:
    • 신뢰성 높은 백업 소프트웨어 veeam
  3. 데이터 복구 절차 및 테스트:
    • 복구 계획 수립 및 주기적 테스트.
    • 실제 복구 절차 실행 방법.

5.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패치 관리

  1. 운영 체제 및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 최신 업데이트 및 펌웨어 적용 방법.
    • 업데이트 전후의 테스트 절차.
  2. 중요 보안 패치 적용 절차:
    • 보안 취약점 패치 방법.
    • 패치 후 시스템 안정성 확인.
  3. 업데이트 전후의 성능 및 안정성 테스트:
    • 업데이트 적용 후 시스템 성능 및 안정성 테스트 방법.
    • 문제 발생 시 복구 절차 유지보수 업체 문의

'서버 > DELL EMC' 카테고리의 다른 글

R650 서버의 에너지 효율성 관리  (0) 2024.07.11
R650 CPU 활성화 개수 변경  (1) 2024.07.11

목차

  1. 에너지 효율성의 중요성
  2. BIOS 설정에서 에너지 효율성 관리
  3. 전력 소비 모니터링 방법
  4. 에너지 절약을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팁

1. 에너지 효율성의 중요성

에너지 효율성은 서버 운영의 총 비용 절감과 환경 보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서버의 에너지 소비를 최적화하면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탄소 발자국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2. BIOS 설정에서 에너지 효율성 관리

  1. BIOS에서 C-States 및 P-States 설정:
    • C-States: CPU의 유휴 상태를 관리하여 에너지 절약.
    • P-States: CPU의 성능 상태를 조절하여 에너지 소비 최적화.
  2. 전력 관리 프로파일 설정:
    • BIOS에서 전력 관리 프로파일을 "Balanced" 또는 "Power Saver"로 설정.
  3. 팬 속도 및 온도 관리:
    • BIOS에서 팬 속도 설정을 조절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팬이 최대 속도로 동작하도록 설정.

3. 전력 소비 모니터링 방법

  1. iDRAC을 통한 실시간 전력 소비 모니터링:
    • iDRAC 웹 인터페이스에서 전력 소비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
  2. Dell OpenManage Power Center 사용 방법:
    • Dell OpenManage Power Center를 설치하고, 서버의 전력 소비를 중앙에서 모니터링 및 관리.
  1.  

4. 에너지 절약을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팁

  1. 고효율 전원 공급 장치(PSU) 사용:
    • 80 PLUS 인증을 받은 PSU 사용으로 에너지 효율성 향상.
  2. SSD와 같은 저전력 스토리지 사용:
    • SSD는 HDD보다 에너지 소비가 낮아 효율적.

'서버 > DELL EM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델 R650 서버의 유지보수 및 관리  (0) 2024.07.11
R650 CPU 활성화 개수 변경  (1) 2024.07.11

목차

  1. 델 R650 서버 소개
  2. CPU 활성화 개수 변경의 필요성
  3. 변경 전 준비 사항
  4. 델 R650 서버의 BIOS 진입 방법
  5. BIOS 설정에서 CPU 활성화 개수 변경 방법
  6. 변경 후 확인 및 테스트
  7. 자주 묻는 질문(FAQ)
  8. 마무리

1. 델 R650 서버 소개

델 R650 서버는 최신 기술을 탑재한 고성능 서버로, 다양한 비즈니스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서버는 뛰어난 처리 능력과 확장성을 제공하여 기업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킵니다.

2. CPU 활성화 개수 변경의 필요성

서버의 CPU 활성화 개수를 변경하는 것은 특정 작업 부하에 맞추어 성능을 최적화하거나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많은 코어를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 불필요한 코어를 비활성화하여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3. 변경 전 준비 사항

  • 최신 BIOS 버전 확인 및 업데이트
  • 서버의 중요한 데이터 백업
  • 변경에 필요한 권한 확보(관리자 권한 등)

4. 델 R650 서버의 BIOS 진입 방법

  1. 서버를 재부팅합니다.
  2. 서버가 부팅되는 동안 F2 키를 눌러 BIOS 설정으로 진입합니다.
  3. BIOS 설정 화면에 도착하면, 변경하고자 하는 설정을 찾습니다.

5. BIOS 설정에서 CPU 활성화 개수 변경 방법

  1. BIOS 설정 화면에서 "Processor Settings" 또는 "CPU Configuration" 메뉴로 이동합니다.
  2. "Active Processor Cores" 옵션을 찾습니다.
  3. 원하는 활성화할 코어 수를 선택합니다.
  4. 변경 사항을 저장하고 BIOS 설정을 종료합니다.

6. 변경 후 확인 및 테스트

  1. 서버를 재부팅하고 변경된 설정이 적용되었는지 확인합니다.
  2. 운영 체제에서 CPU 코어 개수를 확인합니다.
  3. 변경된 설정이 서버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테스트합니다.

7. 자주 묻는 질문(FAQ)

Q: CPU 코어 수를 변경하면 어떤 영향을 받나요? A: 활성화된 코어 수는 서버의 처리 능력과 전력 소비에 영향을 미칩니다.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 모든 델 서버에서 이 방법이 적용되나요? A: 대부분의 델 서버에서 유사한 방법으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지만, 모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사용 설명서를 참조하세요.

8. 마무리

델 R650 서버의 CPU 활성화 개수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설정을 통해 서버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언제든지 필요한 경우 다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니 상황에 맞게 조정하시기 바랍니다.

'서버 > DELL EM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델 R650 서버의 유지보수 및 관리  (0) 2024.07.11
R650 서버의 에너지 효율성 관리  (0) 2024.07.11

1. 준비물

Ubuntu 22.04.2 LTS를 설치하기 전에 다음의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 레노버 서버 (예: ThinkSystem)
  • Ubuntu 22.04.2 LTS ISO 파일
  • 부팅 가능한 USB 드라이브 (8GB 이상)
  • 인터넷 연결

2. BIOS 설정

먼저 BIOS 설정을 통해 서버가 USB 드라이브에서 부팅할 수 있도록 합니다.

  1. 서버를 켜고 BIOS 설정 화면으로 들어갑니다 (일반적으로 부팅 시 F1, F2, Delete 또는 Esc 키를 누릅니다).
  2. 'Boot' 메뉴에서 부팅 순서를 USB 드라이브가 첫 번째로 오도록 변경합니다.
  3. 변경사항을 저장하고 BIOS 설정에서 나옵니다.

3. 부팅 디스크 준비

Ubuntu 22.04.2 LTS ISO 파일을 부팅 가능한 USB 드라이브에 준비합니다.

  1. Ubuntu 공식 웹사이트에서 Ubuntu 22.04.2 LTS ISO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2. Rufus 또는 balenaEtcher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ISO 파일을 USB 드라이브에 작성합니다.
    • Rufus 사용 예시:
      1. Rufus를 실행하고, 다운로드한 ISO 파일을 선택합니다.
      2. USB 드라이브를 선택한 후 'Start'를 클릭하여 부팅 가능한 USB를 만듭니다.

4. Ubuntu 22.04.2 LTS 설치 과정

USB 드라이브를 사용하여 Ubuntu 22.04.2 LTS를 설치합니다.

  1. 준비된 USB 드라이브를 서버에 삽입하고, 서버를 재부팅합니다.
  2. 부팅 메뉴에서 USB 드라이브를 선택합니다.
  3. Ubuntu 설치 화면이 나타나면 Install Ubuntu Server를 선택합니다.
  4. 언어 선택 화면에서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고 'Enter'를 누릅니다.
  5. 키보드 레이아웃을 선택하고 'Done'을 클릭합니다.
  6. 네트워크 설정 화면에서 자동으로 설정되거나 수동으로 네트워크를 설정합니다.
  7. 저장소 설정 화면에서 설치할 디스크를 선택하고 'Done'을 클릭합니다.
  8. Storage configuration 화면에서 원하는 파티션 설정을 선택하고 'Done'을 클릭합니다.
  9. 프로필 설정 화면에서 사용자 계정과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
  10. SSH Setup 화면에서 SSH 설치 여부를 선택합니다. 원격 접속을 위해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11. 필요한 추가 패키지를 선택하고 'Done'을 클릭하여 설치를 시작합니다.
  12. 설치가 완료되면 'Reboot'를 클릭하여 서버를 재부팅합니다.

5. 설치 후 설정

서버가 재부팅되면 기본적인 설정을 마칩니다.

  1. 설정한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2. 네트워크 설정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합니다.
    sudo vi /etc/netplan/00-installer-config.yaml
    파일을 편집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3. 최신 업데이트를 적용합니다.
    sudo apt update sudo apt upgrade -y

이로써 레노버 서버에 Ubuntu 22.04.2 LTS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서버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추가적인 설정이나 질문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1. 준비물

RHEL 9.3을 설치하기 전에 다음의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 레노버 서버 (예: ThinkSystem)
  • Red Hat Enterprise Linux 9.3 ISO 파일
  • 부팅 가능한 USB 드라이브 (8GB 이상)
  • Red Hat 계정 및 구독
  • 인터넷 연결

2. BIOS 설정

먼저 BIOS 설정을 통해 서버가 USB 드라이브에서 부팅할 수 있도록 합니다.

  1. 서버를 켜고 BIOS 설정 화면으로 들어갑니다 (일반적으로 부팅 시 F1, F2, Delete 또는 Esc 키를 누릅니다).
  2. 'Boot' 메뉴에서 부팅 순서를 USB 드라이브가 첫 번째로 오도록 변경합니다.
  3. 변경사항을 저장하고 BIOS 설정에서 나옵니다.

3. 부팅 디스크 준비

RHEL 9.3 ISO 파일을 부팅 가능한 USB 드라이브에 준비합니다.

  1. Red Hat 고객 포털에서 Red Hat Enterprise Linux 9.3 ISO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Red Hat 계정이 필요하며, 구독이 있어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2. Rufus 또는 balenaEtcher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ISO 파일을 USB 드라이브에 작성합니다.
    • Rufus 사용 예시:
      1. Rufus를 실행하고, 다운로드한 ISO 파일을 선택합니다.
      2. USB 드라이브를 선택한 후 'Start'를 클릭하여 부팅 가능한 USB를 만듭니다.

4. RHEL 9.3 설치 과정

USB 드라이브를 사용하여 RHEL 9.3을 설치합니다.

  1. 준비된 USB 드라이브를 서버에 삽입하고, 서버를 재부팅합니다.
  2. 부팅 메뉴에서 USB 드라이브를 선택합니다.
  3. Red Hat Enterprise Linux 설치 화면이 나타나면 Install Red Hat Enterprise Linux 9.3을 선택합니다.
  4. 언어 선택 화면에서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고 '계속'을 클릭합니다.
  5. 설치 요약 화면에서 다음 설정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변경합니다:
    • DATE & TIME: 서버의 시간대 설정
    • SOFTWARE SELECTION: 'Minimal Install' 또는 필요한 패키지를 선택
    • INSTALLATION DESTINATION: 설치할 디스크 선택 및 파티션 설정
  6. 모든 설정이 완료되면 'Begin Installation'을 클릭합니다.
  7. 설치가 진행되는 동안 ROOT PASSWORD와 USER CREATION을 설정합니다.
  8. 설치가 완료되면 'Reboot'를 클릭하여 서버를 재부팅합니다.

5. 설치 후 설정

서버가 재부팅되면 기본적인 설정을 마칩니다.

  1. 루트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2. 네트워크 설정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합니다. 명령어를 사용하여 텍스트 기반의 네트워크 설정 도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nmtui
  4. Red Hat 구독을 등록합니다.
     
    subscription-manager register --username <Red Hat 계정 사용자명> --password <Red Hat 계정 비밀번호> subscription-manager attach --auto
  5. 최신 업데이트를 적용합니다.
     
    dnf update -y

    dnf install -y nano wget

이로써 레노버 서버에 RHEL 9.3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서버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추가적인 설정이나 질문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1. 준비물

Rocky Linux 9.2을 설치하기 전에 다음의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 레노버 서버 (예: ThinkSystem)
  • Rocky Linux 9.2 ISO 파일
  • 부팅 가능한 USB 드라이브 (8GB 이상)
  • 인터넷 연결

2. BIOS 설정

먼저 BIOS 설정을 통해 서버가 USB 드라이브에서 부팅할 수 있도록 합니다.

  1. 서버를 켜고 BIOS 설정 화면으로 들어갑니다 (일반적으로 부팅 시 F1, F2, Delete 또는 Esc 키를 누릅니다).
  2. 'Boot' 메뉴에서 부팅 순서를 USB 드라이브가 첫 번째로 오도록 변경합니다.
  3. 변경사항을 저장하고 BIOS 설정에서 나옵니다.

3. 부팅 디스크 준비

Rocky Linux 9.2 ISO 파일을 부팅 가능한 USB 드라이브에 준비합니다.

  1. Rocky Linux 공식 웹사이트에서 Rocky Linux 8.7 ISO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2. Rufus 또는 balenaEtcher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ISO 파일을 USB 드라이브에 작성합니다.
    • Rufus 사용 예시:
      1. Rufus를 실행하고, 다운로드한 ISO 파일을 선택합니다.
      2. USB 드라이브를 선택한 후 'Start'를 클릭하여 부팅 가능한 USB를 만듭니다.

4. Rocky Linux 9.2 설치 과정

USB 드라이브를 사용하여 Rocky Linux 9.2을 설치합니다.

  1. 준비된 USB 드라이브를 서버에 삽입하고, 서버를 재부팅합니다.
  2. 부팅 메뉴에서 USB 드라이브를 선택합니다.
  3. Rocky Linux 설치 화면이 나타나면 Install Rocky Linux 8을 선택합니다.
  4. 언어 선택 화면에서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고 '계속'을 클릭합니다.
  5. 설치 요약 화면에서 다음 설정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변경합니다:
    • DATE & TIME: 서버의 시간대 설정
    • SOFTWARE SELECTION: 'Minimal Install' 또는 필요한 패키지를 선택
    • INSTALLATION DESTINATION: 설치할 디스크 선택 및 파티션 설정
  6. 모든 설정이 완료되면 'Begin Installation'을 클릭합니다.
  7. 설치가 진행되는 동안 ROOT PASSWORD와 USER CREATION을 설정합니다.
  8. 설치가 완료되면 'Reboot'를 클릭하여 서버를 재부팅합니다.

이로써 레노버 서버에 Rocky Linux 9.2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서버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추가적인 설정이나 질문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1. 준비물

CentOS 7.9를 설치하기 전에 다음의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 레노버 서버 (예: ThinkSystem)
  • CentOS 7.9 ISO 파일
  • 부팅 가능한 USB 드라이브 (8GB 이상) & IODD

2. BIOS 설정

먼저 BIOS 설정을 통해 서버가 USB 드라이브에서 부팅할 수 있도록 합니다.

  1. 서버를 켜고 BIOS 설정 화면으로 들어갑니다 (일반적으로 부팅 시 F1 키를 누릅니다).
  2. UEFI 설정 필수
  3. 'Boot' 메뉴에서 부팅 순서를 USB 드라이브가 첫 번째로 오도록 변경합니다.
  4. 변경사항을 저장하고 BIOS 설정에서 나옵니다.

3. 부팅 디스크 준비

CentOS 7.9 ISO 파일을 부팅 가능한 USB 드라이브에 준비합니다.

  1. CentOS 공식 웹사이트에서 CentOS 7.9 ISO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2. Rufus 또는 balenaEtcher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ISO 파일을 USB 드라이브에 작성합니다.
    • Rufus 사용 예시:
      1. Rufus를 실행하고, 다운로드한 ISO 파일을 선택합니다.
      2. USB 드라이브를 선택한 후 'Start'를 클릭하여 부팅 가능한 USB를 만듭니다.

4. CentOS 7.9 설치 과정

USB 드라이브를 사용하여 CentOS 7.9를 설치합니다.

  1. 준비된 USB 드라이브를 서버에 삽입하고, 서버를 재부팅합니다.
  2. 부팅 메뉴에서 USB 드라이브를 선택합니다.
  3. CentOS 설치 화면이 나타나면 Install CentOS 7을 선택합니다.
  4. 언어 선택 화면에서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고 '계속'을 클릭합니다.
  5. 설치 요약 화면에서 다음 설정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변경합니다:
    • DATE & TIME: 서버의 시간대 설정
    • SOFTWARE SELECTION: 'Minimal Install' 또는 필요한 패키지를 선택
    • INSTALLATION DESTINATION: 설치할 디스크 선택 및 파티션 설정
  6. 모든 설정이 완료되면 'Begin Installation'을 클릭합니다.
  7. 설치가 진행되는 동안 ROOT PASSWORD와 USER CREATION을 설정합니다.
  8. 설치가 완료되면 'Reboot'를 클릭하여 서버를 재부팅합니다.

5. 설치 후 설정

서버가 재부팅되면 기본적인 설정을 마칩니다.

  1. 루트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2. 네트워크 설정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합니다.
    nmtui
    명령어를 사용하여 텍스트 기반의 네트워크 설정 도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최신 업데이트를 적용합니다.
     
    yum update -y

이로써 레노버 서버에 CentOS 7.9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서버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추가적인 설정이나 질문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설정은 시스템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겠습니다.

IP 주소 확인 및 설정

1. IP 주소 확인

현재 시스템의 IP 주소를 확인하려면 ifconfig 또는 ip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ifconfig

 

&

ip addr show

2. IP 주소 설정

고정 IP 주소를 설정하려면 네트워크 설정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설정 파일은 /etc/network/interfaces 또는 /etc/netplan/ 아래에 위치합니다.

/etc/network/interfaces 예제 (Debian 기반)

sudo vi /etc/network/interfaces

다음 내용을 추가하거나 수정합니다.

auto eth0 iface eth0 inet static address 192.168.1.100 netmask 255.255.255.0 gateway 192.168.1.1

/etc/netplan/ 예제 (Ubuntu 18.04+)

sudo vi /etc/netplan/01-netcfg.yaml

다음 내용을 추가하거나 수정합니다.

network:
  version: 2
  ethernets:
    eth0:
      dhcp4: no
      addresses: [192.168.1.100/24]
      gateway4: 192.168.1.1
      nameservers:
        addresses: [8.8.8.8, 8.8.4.4]
 

변경 사항을 적용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sudo netplan apply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관리

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려면 ifup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sudo ifup eth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하려면 ifdown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sudo ifdown eth0

4. 네트워크 서비스 재시작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한 후에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재시작해야 합니다.

sudo systemctl restart networking
&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

SSH 설정 및 사용

5. SSH 서버 설치

리눅스 시스템에서 원격 접속을 위해 SSH 서버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OS설치할때 SSH를 포함해서 설치합니다)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openssh-server

6. SSH 서버 시작 및 상태 확인

sudo systemctl start ssh
sudo systemctl enable ssh
sudo systemctl status ssh

7. SSH 클라이언트 사용

다른 리눅스 시스템에서 SSH를 사용하여 원격 서버에 접속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ssh username@remote_server_ip

결론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잘 관리하는 것은 시스템 안정성과 보안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IP 주소 설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관리, SSH 설정 등의 기본적인 네트워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리눅스 시스템 모니터링과 로그 관리 방법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

 

1u서버 / APC / DB / defog / DEFOG랙 / dell5820 / dell5820t / dell7920 / dellpoweredge / dellr240 / dellr340 / dellr350 / dellr450 / dellr540 / dellr630 / dellr640 / dellr740 / dellr750 / dellserver / dellt40 / dellt440 / dellt5820 / dell서버 / DELL서버CPU / DELL서버RAID컨트롤러 / DELL서버SAS하드디스크 / DELL서버가격비교 / DELL서버가격비교견적 / DELL서버견적 / DELL서버구매 / DELL서버디스크교체 / DELL서버메모리 / DELL서버펌웨어 / DELL서버하드디스크구매 / dell워크스테이션 / dl20 / dl20gen10 / dl360 / dl360gen10 / dl380 / dl380g10 / dl380gen10 / ECC메모리 / EDFOG랙가격 / ESTSOFT / FIRMWARE / gpu서버 / gpu타워형서버 / HA솔루션 / hpdl20 / hpdl360 / hpdl360gen10 / hpdl380 / hpdl380g10 / HPE / HPE Service Pack for Proliant / HPE SPP / hpedl20 / hpedl20gen10 / hpedl360gen10 / hpe서버 / HPE서버CPU / HPE서버RAID컨트롤러 / HPE서버SAS하드디스크 / HPE서버가격비교 / HPE서버가격비교견적 / HPE서버견적 / HPE서버구매 / HPE서버드라이버설치 / HPE서버디스크교체 / HPE서버메모리 / HPE서버비용 / HPE서버펌웨어 / HPE서버하드디스크구매 / hpgen10 / hpml30 / hpserver / hpz2 / hpz4 / hpz420 / hpz440 / hpz4g4 / hpz640 / hpz6g4 / hpz8g4 / hp마이크로서버 / hp서버 / hp서버800 / hp서버800w / hp서버cto / hp서버pc / HP서버메모리 / hp서버컴퓨터 / HP서버펌웨어 / HP서버하드디스크 / hp워크스테이션 / hp프로라이언트 / HYPER BACKUP / ibm서버 / Intelligent Provisioning / KVM / KVM 기술지원비(비용) / KVM 설치비 / L2스위치 / L3스위치 / LENONO서버SAS하드디스크 / lenovop620 / lenovor650 / LENOVO서버 / LENOVO서버CPU / LENOVO서버RAID컨트롤러 / LENOVO서버가격비교 / LENOVO서버가격비교견적 / LENOVO서버견적 / LENOVO서버구매 / LENOVO서버디스크교체 / LENOVO서버메모리 / LENOVO서버하드디스크구매 / LENOVO펌웨어업데이트 / Linux / ML30 / ml30gen10 / ML350GEN10 / ML360 / MSSQL / MSSQL 기술지원비(비용) / MSSQL 설치비 / MYSQL / MySQL 기술지원비(비용) / MySQL 설치비 / OS설치 / p17079-b21 / poweredger740 / poweredger750 / precision5820 / QUADRO / QUADRO그래픽카드 / r240 / r340 / r440 / r740 / RHEL설치 / RMS랙 / server / serverpc / SOPHOS / SPP / sr250 / sr650 / SYNOLOGY / SYNOLOGY나스 / UPS / UPS기술지원 / UPS납품 / UPS설치 / V3 / Windows서버설치 / z420 / z620 / z840 / z8g4 / 기술지원비(비용) / 나스기술지원 / 나스설치지원 / 네트워크스위치 / 네트워크장비 / 더블테이크 / 데이터베이스 / 델5820 / 델서버 / 델서버비용 / 델서버펌웨어업데이트 / 델워크스테이션 / 델컴퓨터워크스테이션 / 디포그 / 디포그랙 / 디포그랙가격 / 딥러닝pc / 딥러닝서버 / 랙 / 랙(RACK) 기술지원비(비용) / 랙(RACK) 설치비 / 랙납품설치 / 랙설치 / 레노버p620 / 레노버서버 / 레노버워크스테이션 / 레노보서버 / 레노보서버펌웨어 / 레드헷설치 / 리눅스 기술지원비(비용) / 리눅스 설치비 / 리눅스서버 / 리눅스서버설치 / 리눅스서버트러블슈팅 / 리눅스트러블슈팅 / 리욱스 / 미니서버 / 미니서버랙 / 방화벽 / 방화벽 기술지원비(비용) / 방화벽 설치비 / 방화벽엔지니어 / 백업 / 보안솔루션 / 보안솔루션구매 / 보안솔루션설치 / 서버 / 서버 기술지원비(비용) / 서버 랙마운트비용 / 서버 설치비 / 서버 장애조치비용 / 서버CPU / 서버MEMORY / 서버OS설치 / 서버pc / 서버가격 / 서버구매 / 서버기술지원 / 서버납품 / 서버디스크장애처리 / 서버랙 / 서버렉마운트 / 서버메모리 / 서버몬 / 서버몬기술지원 / 서버백업 / 서버보안 / 서버엔지니어 / 서버용pc / 서버용그래픽카드 / 서버용메모리 / 서버용컴퓨터 / 서버용하드디스크 / 서버컴 / 서버컴퓨터 / 서버트러블슈팅 / 서버호스팅 / 소포스 / 스위치 / 스위치 기술지원비(비용) / 스위치 설치비 / 스토리지 / 스토리지 기술지원비(비용) / 스토리지 랙마운트비용 / 스토리지 설치비 / 스토리지 장애조치비용 / 스토리지납품설치 / 스토리지서버 / 시놀로지DS918 / 시놀로지HyperBackup / 시놀로지나스 / 시놀로지나스백업 / 시놀로지하이퍼백업 / 시큐어디스크 / 안랩 / 알약 / 왼도우서버설치 / 우분투설치 / 워크스테이션 / 워크스테이션pc / 워크스테이션컴퓨터 / 윈도우서버 / 윈도우서버2016 / 윈도우서버2019 / 윈도우서버트러블슈팅 / 윈도우즈 기술지원비(비용) / 윈도우즈 설치비 / 이스트소프트 / 이중화솔루션 / 이중화솔루션구매 / 이중화솔루션설치 / 인터넷디스크 / 작업장컴퓨터 / 제온서버 / 젠서버 / 중고서버 / 중고워크스테이션 / 카보나이트 / 카스퍼스키 / 컴퓨터서버 / 쿼드로P400 / 타워형서버 / 페도라설치 / 프로라이언트 / GPU서버 / 미니서버렉 / 서버용PC / 젠서버 / AI서버 / 제온서버 / 서버가격 / 1U서버 / HPDL20Gen10 / HP서버8SFF800W / 가상서버 / 타워형서버 / HPDL360 / HPDL380Gen10 / 컴퓨터서버 / 미디어서버 / 타워서버 / DB서버 / HP서버580 / HP서버파워 / HPDL360Gen10 / 윈도우서버컴퓨터 / XEON서버 / 881457-B21

리눅스에서는 여러 사용자를 관리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에게 적절한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자와 그룹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사용자 계정 관리

1. 사용자 계정 생성

새 사용자를 생성하려면 useradd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sudo useradd username

사용자 계정을 생성한 후, passwd 명령어를 사용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

sudo passwd username

2. 사용자 계정 삭제

사용자를 삭제하려면 userdel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sudo userdel username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와 메일 스풀도 삭제하려면 -r 옵션을 사용합니다.

sudo userdel -r username

3. 사용자 정보 수정

사용자 정보를 수정하려면 usermod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변경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sudo usermod -d /new/home/dir username

그룹 관리

4. 그룹 생성

새 그룹을 생성하려면 groupadd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sudo groupadd groupname

5. 그룹 삭제

그룹을 삭제하려면 groupdel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sudo groupdel groupname

6. 사용자를 그룹에 추가

사용자를 그룹에 추가하려면 usermod 명령어의 -aG 옵션을 사용합니다.

sudo usermod -aG groupname username

7. 그룹 정보 수정

그룹 정보를 수정하려면 groupmod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그룹 이름을 변경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sudo groupmod -n newgroupname oldgroupname

사용자 권한 관리

8. 파일 권한 설정

chmod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 권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음 예제는 모든 사용자에게 읽기 권한을 부여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chmod a+r filename

9. 파일 소유자 변경

chown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의 소유자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음 예제는 파일의 소유자를 newuser로 변경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sudo chown newuser filename

10. 그룹 소유자 변경

chgrp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의 그룹 소유자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음 예제는 파일의 그룹 소유자를 newgroup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sudo chgrp newgroup filename

결론

리눅스에서 사용자와 그룹을 관리하는 것은 시스템 보안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기본적인 사용자 및 그룹 관리 명령어를 익히고, 적절한 권한을 부여하여 시스템을 안전하게 유지하세요. 다음 포스트에서는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방법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

 

1u서버 / APC / DB / defog / DEFOG랙 / dell5820 / dell5820t / dell7920 / dellpoweredge / dellr240 / dellr340 / dellr350 / dellr450 / dellr540 / dellr630 / dellr640 / dellr740 / dellr750 / dellserver / dellt40 / dellt440 / dellt5820 / dell서버 / DELL서버CPU / DELL서버RAID컨트롤러 / DELL서버SAS하드디스크 / DELL서버가격비교 / DELL서버가격비교견적 / DELL서버견적 / DELL서버구매 / DELL서버디스크교체 / DELL서버메모리 / DELL서버펌웨어 / DELL서버하드디스크구매 / dell워크스테이션 / dl20 / dl20gen10 / dl360 / dl360gen10 / dl380 / dl380g10 / dl380gen10 / ECC메모리 / EDFOG랙가격 / ESTSOFT / FIRMWARE / gpu서버 / gpu타워형서버 / HA솔루션 / hpdl20 / hpdl360 / hpdl360gen10 / hpdl380 / hpdl380g10 / HPE / HPE Service Pack for Proliant / HPE SPP / hpedl20 / hpedl20gen10 / hpedl360gen10 / hpe서버 / HPE서버CPU / HPE서버RAID컨트롤러 / HPE서버SAS하드디스크 / HPE서버가격비교 / HPE서버가격비교견적 / HPE서버견적 / HPE서버구매 / HPE서버드라이버설치 / HPE서버디스크교체 / HPE서버메모리 / HPE서버비용 / HPE서버펌웨어 / HPE서버하드디스크구매 / hpgen10 / hpml30 / hpserver / hpz2 / hpz4 / hpz420 / hpz440 / hpz4g4 / hpz640 / hpz6g4 / hpz8g4 / hp마이크로서버 / hp서버 / hp서버800 / hp서버800w / hp서버cto / hp서버pc / HP서버메모리 / hp서버컴퓨터 / HP서버펌웨어 / HP서버하드디스크 / hp워크스테이션 / hp프로라이언트 / HYPER BACKUP / ibm서버 / Intelligent Provisioning / KVM / KVM 기술지원비(비용) / KVM 설치비 / L2스위치 / L3스위치 / LENONO서버SAS하드디스크 / lenovop620 / lenovor650 / LENOVO서버 / LENOVO서버CPU / LENOVO서버RAID컨트롤러 / LENOVO서버가격비교 / LENOVO서버가격비교견적 / LENOVO서버견적 / LENOVO서버구매 / LENOVO서버디스크교체 / LENOVO서버메모리 / LENOVO서버하드디스크구매 / LENOVO펌웨어업데이트 / Linux / ML30 / ml30gen10 / ML350GEN10 / ML360 / MSSQL / MSSQL 기술지원비(비용) / MSSQL 설치비 / MYSQL / MySQL 기술지원비(비용) / MySQL 설치비 / OS설치 / p17079-b21 / poweredger740 / poweredger750 / precision5820 / QUADRO / QUADRO그래픽카드 / r240 / r340 / r440 / r740 / RHEL설치 / RMS랙 / server / serverpc / SOPHOS / SPP / sr250 / sr650 / SYNOLOGY / SYNOLOGY나스 / UPS / UPS기술지원 / UPS납품 / UPS설치 / V3 / Windows서버설치 / z420 / z620 / z840 / z8g4 / 기술지원비(비용) / 나스기술지원 / 나스설치지원 / 네트워크스위치 / 네트워크장비 / 더블테이크 / 데이터베이스 / 델5820 / 델서버 / 델서버비용 / 델서버펌웨어업데이트 / 델워크스테이션 / 델컴퓨터워크스테이션 / 디포그 / 디포그랙 / 디포그랙가격 / 딥러닝pc / 딥러닝서버 / 랙 / 랙(RACK) 기술지원비(비용) / 랙(RACK) 설치비 / 랙납품설치 / 랙설치 / 레노버p620 / 레노버서버 / 레노버워크스테이션 / 레노보서버 / 레노보서버펌웨어 / 레드헷설치 / 리눅스 기술지원비(비용) / 리눅스 설치비 / 리눅스서버 / 리눅스서버설치 / 리눅스서버트러블슈팅 / 리눅스트러블슈팅 / 리욱스 / 미니서버 / 미니서버랙 / 방화벽 / 방화벽 기술지원비(비용) / 방화벽 설치비 / 방화벽엔지니어 / 백업 / 보안솔루션 / 보안솔루션구매 / 보안솔루션설치 / 서버 / 서버 기술지원비(비용) / 서버 랙마운트비용 / 서버 설치비 / 서버 장애조치비용 / 서버CPU / 서버MEMORY / 서버OS설치 / 서버pc / 서버가격 / 서버구매 / 서버기술지원 / 서버납품 / 서버디스크장애처리 / 서버랙 / 서버렉마운트 / 서버메모리 / 서버몬 / 서버몬기술지원 / 서버백업 / 서버보안 / 서버엔지니어 / 서버용pc / 서버용그래픽카드 / 서버용메모리 / 서버용컴퓨터 / 서버용하드디스크 / 서버컴 / 서버컴퓨터 / 서버트러블슈팅 / 서버호스팅 / 소포스 / 스위치 / 스위치 기술지원비(비용) / 스위치 설치비 / 스토리지 / 스토리지 기술지원비(비용) / 스토리지 랙마운트비용 / 스토리지 설치비 / 스토리지 장애조치비용 / 스토리지납품설치 / 스토리지서버 / 시놀로지DS918 / 시놀로지HyperBackup / 시놀로지나스 / 시놀로지나스백업 / 시놀로지하이퍼백업 / 시큐어디스크 / 안랩 / 알약 / 왼도우서버설치 / 우분투설치 / 워크스테이션 / 워크스테이션pc / 워크스테이션컴퓨터 / 윈도우서버 / 윈도우서버2016 / 윈도우서버2019 / 윈도우서버트러블슈팅 / 윈도우즈 기술지원비(비용) / 윈도우즈 설치비 / 이스트소프트 / 이중화솔루션 / 이중화솔루션구매 / 이중화솔루션설치 / 인터넷디스크 / 작업장컴퓨터 / 제온서버 / 젠서버 / 중고서버 / 중고워크스테이션 / 카보나이트 / 카스퍼스키 / 컴퓨터서버 / 쿼드로P400 / 타워형서버 / 페도라설치 / 프로라이언트 / GPU서버 / 미니서버렉 / 서버용PC / 젠서버 / AI서버 / 제온서버 / 서버가격 / 1U서버 / HPDL20Gen10 / HP서버8SFF800W / 가상서버 / 타워형서버 / HPDL360 / HPDL380Gen10 / 컴퓨터서버 / 미디어서버 / 타워서버 / DB서버 / HP서버580 / HP서버파워 / HPDL360Gen10 / 윈도우서버컴퓨터 / XEON서버 / 881457-B21

+ Recent posts